728x90 반응형 오블완5 니체가 말하는 진정한 자존감이란? 신은 죽었다니체약 150년전 니체는 '신은 죽었다'를 선언하며 신을 사랑의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니체가 '신은 죽었다'라고 말한 배경에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있었습니다. 당시 기독교에서는 신의 존재를 위협하는 과학적인 사실이 존재해서는 안되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지동설'입니다. 물론 지금은 초등학생들도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압니다. 하지만 중세 유럽에서는 우주의 중심에 지구가 있고 그 주위를 태양과 행성들이 돈다는 '천동설'을 믿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신이 모든 것을 창조했다는 걸 부정하게 되니까요. 이때 니체가 나타나 기독교가 인간을 억압하고 있다며 거기서 해방되어 한 사람, 한 사람이 자기자신을 되찾아야 한다며 '신은 죽었다'라고 말한 것입니다.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는 기술.. 2024. 11. 27. 2050년 사라질 직업 1순위는? 2050년의 고용시장2050년의 고용 시장은 지금과 크게 다를 것입니다. AI와 로봇공학은 농작물 수확부터 주식 거래와 요가 강습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직종에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하는 대부분의 일은 로봇과 컴퓨터가 상당부분 대체할 것이 분명합니다. 사라질 직업도 많겠지만, 새로운 직업도 등장할 것입니다. 과거 산업혁명으로 수백만명의 농민들이 일자리를 잃었지만, 공장에서 새 일자리를 찾았고, 공장이 자동화되면서 많은 서비스직이 만들어졌으니까요. 오늘날 사람들은 유튜버, 블로거, 드론 조종사, 가상세계 디자이너 등 30년 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2050년에도 인간의 모든 직업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다만 새로운 직업과 환경에 적응하는 문제로 상당한 혼란이 불가피.. 2024. 11. 26. 돌봄을 짊어진 아동, 영 케어러를 아시나요? 영 케어러란?삿포로에 사는 초등학교 5학년의 영 케어러영 케어러(Young Carer)는 1980년대 영국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부모 등에게 무보수 돌봄 노동을 제공하는 청소년’ 을 의미합니다. 영 케어러(Young Carer)는 집안일과 가족의 돌봄을 도맡은 18세 미만의 아동입니다. 만성질환이나 신체장애, 정신적 문제로 장기간 돌봄과 간호, 관찰이 필요한 가족을 마땅히 돌볼 사람이 없을 때, 성인이 짊어질 책임을 미성년 아동이 떠안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일본 문부과학성과 후생노동성이 2021년 3월에 발표한 「영 케어러의 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일본 중학교 2학년 학생 17명 중 1명이 영 케어러라고 합니다. 이들 영 케어러들은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행정적 지원은 아직 제.. 2024. 11. 24. 2025학년도 입학생 학기제 교육과정 편성의 최우선 가치는 뭘까? 2년 전부터 교내외 연수를 통해 제가 꾸준히 설명해온 4학점 개방형 교육과정이 본교 2025학년도 입학생 교육과정으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교육과정 전문가로서 2년 동안 많은 연수를 하고 교사들의 이해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블로그는 물론 전자책까지 출간하면서 말이죠. 많은 분들이 제가 제시한 교육과정에 공감을 나타내며 관점의 변화를 이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해 무관심 혹은 방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기존 교육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복잡하니 어렵고 눈에 잘 안들어옵니다. 누가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었을까요?교육과정 편성의 방향 3가지학생과 학부모, 심지어 교사들도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교육과정은 결코 좋은게 아닙니다. 저는 단순한 교육과정을 지향했습니다. 2.. 2024. 11. 24. 자퇴하는 교대생 급증, 그 이유는 뭘까? 전국 교육대학 가운데 전주교대의 자퇴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육부 자료를 보면 올해 1학기 전주교대 중도탈락학생은 12명, 모두 자퇴생들이었습니다. 전국 10개 교대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입니다. 2학기 역시 전국에서 가장 많은 17명이 자퇴했습니다. 최근 6년새 중도탈락학생은 185명에 달합니다. 중등에 비해 초등 교사는 교대 입학하는게 힘들지, 막상 교대에 들어가고나면 초등 임용 시험을 거쳐 초등교사로 취업이 보장되어 인기였습니다. 특히 안정적인 결혼 생활을 원하는 여학생들이 선호했죠.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정시 비중이 클수록 자퇴도 많아교대 지원 인기도 시들해졌는데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정보포털을 보면 2024학년도 정시 최종 등록 신입생 상위 70%의 평균 .. 2024. 11. 2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