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일본이야기13 일본은 벌써 벚꽃 만개 우리보다 사쿠라가 일찍 개화하는 일본은 지금 도쿄부근을 시작으로 사쿠라가 만개하고 있습니다. 1월에 우에노와 스카이 트리를 다녀왔는데. 그곳도 활짝 핀 벚꽃으로 눈길을 끌고 있네요. 특히 최근 스카이 트리 주변에서 사쿠라를 찍을 수 있는 포토 스폿이 있다고 해서 SNS에서 화제입니다.우에노 공원도 따뜻한 날씨와 하나미(벚꽃 구경)를 만끽하려는 외국인들로 인산인해입니다. 도쿄 메구로 강에서는 크루즈를 타며 벚꽃을 구경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 나름 운치있고 재밌어 보입니다. 시원한 강바람을 맞으며 즐기는 하나미, 생각만해도 기분좋아지는데요. 지금 일본에서 사쿠라가 만개해서 가장 화려한 자태를 내뿜는 곳은 다름아닌 가나가와현의 미나미아시가라시입니다. 이곳의 사쿠라는 '하루메키'라고 불리는데요. 꽃잎이 핑크색으.. 2025. 3. 30. 일본어 표현 #1. 빙 돌려서 말하다 저는 강연을 많이 나가다 보니, 어떻게 하면 주어진 시간 동안 청중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강연을 주도할 수 있을지를 고민합니다. 프리젠테이션과 강연 내용을 만들 때도 항상 어느 부분을 강조하고, 애드립을 추가할까 고민하기도 하죠.수많은 강연을 통해 배운 것은, 짧고 분명한 메시지와 임팩트 있는 정보가 중요하다는 사실이었습니다. 남들 다 아는 뻔한 정보와 소재로는 강연을 재밌게 할 수가 없습니다. 청중과 강연자 간의 정보 차이(Information Gap)를 적극 활용하여, 쉽게 눈을 떼지 못하도록 계속 자극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제가 청중의 입장에서 강연이나 연수를 듣기도 하는데요. 학교 현장에서 듣는 강연은 대부분 지루하기 짝이 없습니다. 공문이나 유인물과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말하거나.. 2025. 3. 30. 장수하는 롱셀러 제품의 인기비결은 뭘까? 주위를 보면 오랜기간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장수하는 제품들이 많습니다.특히 간식으로 즐겨먹는 과자나 아이스크림이 그것인데요. 초코파이, 새우깡, 오징어땅콩, 월드콘......이름만 대면 누구나 다 알수 있는 롱셀러 히트 제품들이죠.할아버지부터 손자세대에 걸쳐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이들 제품에는 도대체 어떤 비결이 있길래 오랜 기간 꾸준한 사랑을 받을 수 있는 걸까요?그건 바로 제품의 포장에 미묘한 변화를 주어 매출을 올리는 비법입니다.이걸 심리학용어로 丁度加知差異(쵸우도카치사이)라고 부릅니다. 즉 큰 변화가 아닌 ちょうど(쵸우도, 적당히)만큼 포장에 변화를 주면서 여러세대에 걸쳐 인기를 유지한다고 합니다. 급격한 변화는 기존에 제품을 선호하던 소비자의 반감 혹은 이탈을 불러일으키고, 너무 변화가 없.. 2025. 3. 27. 일본에서 목욕패스 족, 외출패스 족을 뭐라고 할까요? 요즘 일본 방송을 보다보면 자주 들리는 용어가 바로 ~界隈(かいわい/카이와이)입니다. 예를 들면 風呂キャンセル界隈(후로 캰세루 카이와이)、外出キャンセル界隈(가이슈츠 캰세루 카이와이)등으로 말이죠.界隈(かいわい/카이와이)는 원래 '근처, 부근, 일대' 라는 뜻입니다. 가령 銀座界隈(긴자 카이와이)라고 하면 긴자 일대를 의미합니다. 또는 특정 업계나 분야를 의미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그런데 요즘 일본의 Z세대들은 이 界隈(かいわい/카이와이)를 자신만의 취향이나 커뮤니티를 칭하는 말로 쓰고 있습니다. 우리말로 하면 ~족이라고 할까요. 風呂キャンセル界隈(후로 캰세루 카이와이)는 목욕을 하지않는 목욕패스족을 가리킵니다. 또 外出キャンセル界隈(가이슈츠 캰세루 카이와이)는 외출을 자주하지않는 외출패스족을 가리킵니다.. 2025. 3. 26. 일본어 한자의 후리가나를 왜 루비라고 부를까? 일본어를 공부하다보면 한자 위에 작은 히라가나로 한자의 발음을 표기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일본에서는 '루비'라고 부르는데요. 왜 루비라고 부르게 되었는지 아시나요?먼저 간단히 후리가나에 대해 설명하자면, 후리가나(振り仮名)는 일본어 한자 위나 옆에 작게 표기되는 히라가나로, 한자의 읽는 법을 알려주는 표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東京(도쿄)'라는 한자 위에 'とうきょう'라고 작게 표기하는 것이죠. 다른말로 요미가나라고도 합니다. 일본어는 한자의 독음이 다양해서 어려운 한자의 경우에는 후리가나가 없으면 읽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왜 루비라고 부를까?루비라는 명칭은 서양의 인쇄 기술이 일본에 도입된 메이지 시대(1868-1912)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서양에서 수입된 인쇄기에서 사용하던 .. 2025. 3. 23. 운을 부르는 매장, 돈키호테 일본여행을 한번 쯤 해본 분들이라면 '돈키호테(ドン・キホーテ)'를 안 가보신 분은 없을 것입니다. 2024년 돈키호테의 영업이익이 창사 이래 첫 1000억엔을 돌파했습니다. 한국인 관광객의 호주머니 덕분입니다. 호실적에 주가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돈키호테는 그야말로 없는게 없는 저가 잡화매장입니다. 일본 유통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돈키호테는 무질서한 듯 보이지만 치밀하게 설계된 매장 운영과 독특한 고객 경험으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 곳입니다. 그 배경에는 창업주 야스다 다카오의 비범한 경영 철학이 존재합니다. 그는 『운의 경영학』이라는 책을 통해 그는 자신의 경영 여정을 돌아보며, 성공의 원천으로 ‘운’을 강조합니다. 야스다 다카오는 ‘운’을 단순한 우연이 아닌, 스스로 끌어당길 수.. 2025. 3. 23.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